대다수의 한국 어린이들, 한국 청소년들은 획일교육의 추종자들에게 너무 처참할 정도로 짓밟혔다. 미국의 심리학자가 ‘수면과 기억력의 상관관계’를 발표한 연도를 기준으로, 6~7년이나 먼저 나에게 ‘수면과 기억의 연관성’을 물었던 그 친구도 역시 재능을 살릴 수 없었다. 한국은 오로지 대학입시뿐이었다. 교육제도가 뭐 같다고 해도 청소년들이 논문이나 주장을 제출할 수 있는 데라도 설립했어야 했다. 획일교육에 환장했다고 하더라도, 독창적인 생각을 한 사람을 인정할 정도는 됐어야 했다.
·
그 친구가 미국에서 있었다면 상황은 달랐겠다. 미국의 심리학자보다 그 친구와 내가 먼저 증명했어야 했는데, 미국에서 존재하지 못한 게 아쉽다. 그 친구가 미국에서 있었다면 많은 발견을 이룩했을지도 모른다.
·
'성재문학관 >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는 반복되는 것일까 (0) | 2021.03.19 |
---|---|
PC 통신의 시작 (0) | 2021.03.12 |
노아의 홍수와 대륙 이동 (0) | 2021.03.08 |
아이작 뉴턴과 나의 공통점 (사색) (0) | 2021.03.06 |
아이작 뉴턴과 나의 공통점 (사색) (0) | 2021.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