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걸 경쟁이라고 시키나! 1등부터 꼴찌까지 대학에 적용시키고 서로 경쟁시키는. 마라톤으로 따지면 서울대는 출발에 앞서 100m 혜택 받은 것이고 그렇지 못한 대학은 90m~1m 혜택을 받은 것이다. 그렇게 경쟁시켜 타 대학이 서울대를 따라잡으면 서울대는 허접이 아닐까. 그걸 비판이라고 하나. 학교성적 1등 서울대 vs 그렇지 못..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5.02
아파트촌이 생기면 도서관은 필수 아파트촌이 생기면 도서관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도서관을 세우면 좋은 자리를 찾아보던 중, 과거, 한화유통에서 백화점(둔산점)을 세우려고 했던 자리나 주위가 좋았다. 지금 그 땅을 사야 하는데 돈이 없어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은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되면 아파트촌에다 도서관을 ..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4.29
들쥐근성과 소떼근성은 다르다. 지난날, 나도 죽고 싶다는 말을 많이 했다. 한국의 교육제도는 엄청나게 싫었다. 비겁했는지 나는 죽음을 선택하지 못했다. 하느님께 애원하다시피 했다. 연옥의 끝이라도 좋으니, 나를 죽여 달라는 식이었다. '내가 아기 때 나를 죽이셨다면 좋았을 텐데'였다. 지금은 아니다. 좌절만 하지 않는다. 나..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4.29
서울대 지상주의는 한국 천재, 주재들의 씨를 말렸다. 정의수호라고. 무슨 정의인가. 학벌(서울대 지상주의)들의 정의인가. 아니면 위선의 정의인가. 이도 아니면 입만 살은 정의인가. 여전히 뜻을 못 알아듣는 간판대, 학벌주의 추종자들이 몇천 년 몇만 년 이상을 이룩해도 이룩하지 못할 수준을 이룩하고도 싶었다. 이럼 카스트 상위에 위치하는 걸까. 서..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4.21
한민족은 원래 문화상품의 창조에 엄청 강한 민족 문화상품이란 ‘쥬라기공원’, ‘타이타닉’이 벌어들인 돈의 액수는 한국이 자동차를 10년 이상 수출하고도 상대하기 힘든 액수이다. 문화상품이 큰돈이 되는 이유는, 자동차의 경우는 자동차를 팔은 가격에서 재료비와 인건비를 많이 제하지만, 문화상품은 만들어 논 후 일단 성공만 하면 버는 돈의..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4.01
쇼생크 탈출과 한국의 교육제도 KBS2에서는 1997년 10월 18일 밤 10시 00분 경, ‘쇼생크 탈출’이란 영화를 방영했다. 주인공이 억울하게 감옥에 갇혀 있다, 마침내는 탈옥을 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쇼생크 탈출은 팀 로빈스, 모건 프리먼 주연이다. 내가 쇼생크 탈출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쇼생크 탈출’에서 의미심장한 말이 나왔기 때..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3.29
이제부터는 학벌이 아니라 실력이다 서울대 지상주의(학벌주의)를 유지해야 한다고요. 경기고 서울대 인맥의 경우처럼 말이지요. 단도집입적으로 한국은 학벌이 망쳐놓지 않았소이까. 어쨌든 평준화된 고교 안에서 상급, 중급, 하급으로 반을 편성하고 중급, 하급의 성적이 좋아졌다면 상급으로 가게 하고 상급에서 나빠진 사람은 중급이..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3.29
미국의 박사 그냥 가져라. 제목 미국의 박사 그냥 가져라. 글쓴이 변성재 (ageonguard) 번호 135670 날짜 2005-10-07 23:07:51 조회수 235 추천 0 내 업적으로 하고 싶지만 신문에 실린 것은 그쪽이 아니던가. 그냥 가져라. 고작 몇천억 이상 하는 아이디어도 못살린 주제에 무슨 말이 많을까만. 하여간에 그냥 가져라. 나와 부반장은 한국에서..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3.04
대학이 족집게의 놀이터냐 서울대는 간판장이들의 놀이터. 그러니, 서울대는 세계 800위에도 들지 못하는 대학일 수밖에 없었다. 한 사람이 서울대의 수준을 능가할 수 있는 수준에 쪽팔리겠다. 연구비 타령을 하지만, 돈 있는 사람들 자녀의 놀이터라면 연구비가 아무리 많아도 위대한 업적을 남기기 힘든 법이다. 창의성이 뛰어..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3.02
천재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지난 날 여러 많은 학자들이 천재에 대해 연구했지만, 그들은 제대로 된 연구성과를 남기지 못했다. 1904년, 해블록 엘리스는 대부분의 천재들이 30세 이하의 아버지와 25세 이하의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했으며 병약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는 통계를 발표했는데, 이는 사실과 맞지 않는 주장에 불과하다. ..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7.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