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를 좋아하는 수준이 훗날 큰 인물이 된다 장한나는 어떤 상태일까. 천재란 어떤 존재일까. 서울대 추종자들의 주장대로 암기를 잘하는 사람이 천재일까. 아니면, 독창적인 업적을 남긴 사람이 천재일까. 아니면, 장영주 같은 사람이 천재일까. 1살 때부터 글을 읽는 아이를 천재라고 할 수 있을까. TV에서건 잡지에서건 장한나를 볼 때 ‘재능을..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2.20
노벨상 안 나온다고 투덜 말고 잘 뽑아 제대로 가르쳐라! 1 고시공부는 잘 되어 가는지. 불쌍한 것은 알지만 대학은 고시촌이 아니라는데 고시공부는 집에서 하고 대학을 학문을 진정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돌려줄 생각은 없는지. 서울대가 변해야 다른 대학도 변하는 묘한 상태이다. 자신의 재능(적성)이 뭔지도 모른 채(특히 이공계에 뛰어난 재능이 있었던 ..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2.06
자녀의 인생은 자녀가 알아서 한다 자녀의 인생은 자녀가 알아서 한다. 자녀가 원하는 바를 이루도록 내버려둬야(도와줘야) 한다. 자유로운 새를 가두어 놓으면 버티지 못한다. 내가 어렸을 때, 내가 잡은 참새를 집에서 기르려 한 적이 있었다. 자고 일어나니 참새는 죽어 있었다. 하루도 버티지 못했다. 또한, 야생 물고기를 어항에 넣..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30
저마다 재능이 다른데 왜 한줄로 세우나 삼 위 일 체 잣대로 줄이 그어진 노트는 무의미하다. -나는 이렇게 배웠다. 태양은 빛과 열을 행성에 공급하며 지구에는 타 행성이 부러워 할 정도로 많은 생명체가 있다. 별들은 등대가 되고 싶은지 먼지입자의 도움을 받아 반짝반짝 거리며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청중들은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잠..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28
부모가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 허영심을 만족하기 위해 한국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재능이 뭔지도 모른 채 자녀를 마구 갈구고 돈도 시간도 엄청나게 낭비한다. 사교육, 사교육 하는데 사실이 그렇다. 한국 어린이들의 과외 과목은 속셈, 영어, 피아노, 미술, 컴퓨터에다 몇 가지 더 포함된다. 혹사당하는 수준을 뛰어넘는다. 낭비된 ..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23
과기대를 한국의 MIT로, 포항공대를 한국의 캘리포니아공대로 과기대(서쪽)를 한국의 MIT로, 포항공대(동쪽)를 한국의 캘리포니아공대로 발전시켜 동서로 경쟁시키는 일도 나쁘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다른 대학도 자기 대학에 맞는 특별 지원 학과를 선택해, 특별 지원 학과를 세계적으로 키워야 한다. 특별 지원 학과란, 정부에서 돈(연구비)을 특별 지원하는 학..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22
나는 왕따를 당하지 않았다 현재의 미국과 한국의 차이가 드러난다. 과거, 나도 천재가 경험할 수 있는 일들과 한국의 학교에서 완전히 왕따를 당할 수 있는 요소를 모두 갖췄었다. 나는 고척국민학교에 입학했을 때, 어머니의 도움이 없이는 학교를 찾아가기가 힘들었고, 찾아가도 남의 반으로 갈 때가 있었다. 바보천치 취급을 ..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22
획일교육을 용납할 수 없다 나는 교육이 제대로 되어 있어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것을 계속 강조하던 차였다. “기성세대는 어린이들, 청소년들의 재능을 살려, 한국(통일한국)을 초일류 국가가 되게 해야 한다.” 나의 마음이 변한 적도 있지만 획일교육을 쓸어버려야 한다는 마음만은 20년 가까이 흐른 지금에도 변하지 않았다...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22
이제부터는 재능(특기, 적성)교육이어야 이제는 재능을 키워주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사람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재능이 있다. 재능테스트 포함, 초등학교, 중*고등학교에서의 특별활동(특기, 적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중학교 때부터는 특별활동(재능에 따른)에 대한 점수를 학생부에 ..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13
나는 나의 신념 대로 간다. “과학적으로 말이 안 된다”를 떠나서 말이 안 되는 이유를 밝혀야 할 게 아닐까. “말이 안 된다”고 하다, 증명되면 무슨 말을 하려나. 그런 상투적인 수법은 베게너, 프로이트에게 많이 써먹은 줄로 안다. 강력한 업적은 고정관념과의 싸움에서부터 시작된다. 고정관념을 부수는 자체가 강력한 업.. 성재글모음/사회·교육 2008.01.05